OS Upgrades
클러스터 내 노드를 유지 목적으로 껐다켜야하는 경우가 생길수 있음
일반적으로 워커 노드가 종료되면 pod-eviction-timeout값에 따라(기본5분) 기다리고, 그게 넘으면 pod를 종료하고 죽은것으로 간주해서 다른 노드에서 다시 생성됨.
그래서 5분 넘을거 같으면 따로 아래처럼 작업 해줘야함.
kubectl drain node-1
node-1에 있는 resource들을 다 뺌. 종료되고 다른 노드로 다 옮겨감.
그 이후 필요하면 리붓같은거 하면됨.
kubectl uncordon node-1
위에 명령을 하면 다시 노드를 스케줄 가능하게 할수 있음.
근데 uncordon하는게 기존 배치된 파드들을 재배치하진 않음. 새로 생성되는것만 스케줄링 해줌
레플리카셋이아닌 파드가 있는데 drain하면 pod는 다른데서 재생성 안됨. 그냥 사라짐.
버전
1.2.5 버전이라고 한다면 제일 앞 1 은 major 버전, 중간 2 는 minor 버전(몇달마다 기능 추가같은), 마지막 5는 patch 버전으로 버그같은것들을 수정할때 변경되는거임.
kubernetes는 최근 minor 버전 세개까지 support해주는데, 그래서 보통 최근 버전이 나왔는데 그 버전때문에 내 버전이 지원에서 벗어났다. 그러면 한단계씩 올리는걸 권장함.(한번에 3버전을 올리는게 아니라)
kubeadm upgrade plan ## upgrade 가능한 버전 확인.
마스터 노드를 업그레이드 한다면 (kubeadm기준) apt upgrade 로 설치 하고
kubectl upgrade apply
하면 됨.
마스터 노드가 꺼졌다고 해서 worker 노드에 있는 파드들이 죽는게 아님. 대신 원래 마스터 노드가 해주던 관리 기능이 중지되는것뿐.
마스터 다 하고 똑같이 워커 노드 해주면 됨.
대신에 하기전에 drain 하고 다시 cordone 하면 됨.
'kubernetes(c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ka, kubernetes] CNI, cluster network (0) | 2024.06.09 |
---|---|
[cka, kubernetes] network 사전학습 (0) | 2024.06.07 |
[Kubernetes, cka] 14. Init Containers / Self Healing application (0) | 2024.04.15 |
[Kubernetes, cka] 13. Env 설정 / ConfigMap 활용 / Secretes (0) | 2024.04.15 |
[Kubernetes, cka] 12. commands (0) | 2024.04.10 |